제어의 역전이란

프레임워크가 내 코드를 대신 호출해준다. 말그대로 제어권이 뒤바껴서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클라이언트의 구현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했다.

(구현객체가 제어 흐름을 스스로 다 조종)

지금은 AppConfig 가 등장한 이후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이제 AppConfig 가 가져간다.

 

그러므로 주문 서비스(역할) OrderServiceImpl 은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지만 어떤 구현객체들이 실행하는지 모른다 (제어권을 AppConfig 이 가져가서)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것이 아닌 외부에서 관리하는것을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

 

 

 

 

프레임 워크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
    • '내가 작성한 코드' 를 제어하고 대신해서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 (= Junit)
    • ex) 개발자는 로직만 개발함, 이것을 실행하고 제어하는건 junit 과 테스트 프레임이 가져가서 대신 실행해준다. @beforeEach 를 먼저 실행하고 @Test를 실행하는 라이프 사이클안에서 프레임워크가 적절한 타이밍에 나의 코드를 호출하는 것
  •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와 반면에 '내가 작성한 코드' 가 직접제어의 흐름을 담당하면 라이브러리
    • ex) 자바객체를 xml, json으로 바꿀 때 내가 라이브러리를 불러서 직접 호출하듯이

 

 

 

 

  • 의존관계 주입

: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한다.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의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코드를 전혀 건들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OrderServiceImpl 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만 의존한다 실제 어떤 구현객체(Fix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가 사용될지는 모름

 

 

  • IoC , DI 컨테이너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을 IoC, DI 컨테이너라고 한다.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에는 주로 'DI 컨테이너' 라고 한다

또는 어샘블러, 오브젝트 팩토링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